🌍 이제 산은 경관이 아니라, 지구의 필수 시스템입니다
기후위기.
요즘 매일같이 듣는 말이죠?
-
여름이 더워도 너무 덥고
-
봄가을은 사라지고
-
산불은 한 번 나면 3일, 5일씩 꺼지지 않아요
그럴 때 우리가 제일 먼저 떠올리는 건 뭘까요?
맞아요. 숲입니다.
✅ 지금 숲은 탄소를 빨아들이는 '슈퍼 필터'
나무는 CO₂를 먹고 자랍니다.
숲이 많아지면 대기 중 탄소가 줄고,
그만큼 지구온난화를 늦추는 데 직접적으로 기여해요.
“기후위기 시대, 숲은 단지 경관이 아니라 ‘기후 시스템’의 한 축이다.”
그래서 지금은
🌿 무작정 심는 게 아니라
🌿 기후에 맞게, 적지적수로, 장기적으로 관리하는 숲이 중요해졌습니다.
✅ 지금의 산림정책은 이렇습니다
과거 치산녹화 | 지금 산림정책 |
---|---|
전국 녹화 | 도시 + 농촌의 생활숲 확대 |
조림 중심 | 유지·관리·보전 중심 |
단일 수종 대규모 식재 | 생태다양성 고려한 복합 조림 |
생존형 | 기후대응 + 복지형 |
✅ 시민의 역할도 다릅니다
📌 그땐 “나무를 심자”
📌 지금은 “나무를 함께 키우고, 지키자”
-
내 아이 학교 옆에 학교숲 만들기
-
주말마다 도시숲 자원봉사 참여
-
탄소흡수원 조성 캠페인
-
기업은 산림탄소상쇄제 참여
이제 시민은 숲의 소비자가 아니라, 관리자가 되어야 해요.
🔚 마무리 한마디
"산림은 잃어본 적 있는 나라만이 진짜 가치를 압니다."
과거 치산녹화는
우리가 한 번 잃어버린 것을 다시 되찾아온 노력의 기록이고,
지금의 지속가능한 산림정책은
지켜내기 위한 약속의 시작이에요.
우리 아이들이 ‘지구의 숲은 늘 푸르다’고 말할 수 있도록,
우리는 지금부터 더 똑똑하게, 함께 숲을 지켜가야겠죠 🌳
[지속가능한 산림 시리즈] 전체 목차 연결 안내
1️⃣ [1편] 과거의 치산녹화, 지금은 왜 하지 않을까?
👉 산림 회복의 역사와 치산녹화 운동의 전환점
2️⃣ [2편] 치산녹화에서 탄소중립까지 – 산림정책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 조림 중심에서 기후대응 중심으로의 진화
3️⃣ [3편] 탄소흡수원으로서의 숲,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나무의 역할, 시민 참여, 탄소중립 실천 전략
4️⃣ [4편] 도시숲, 미래의 녹색 인프라가 되다
👉 기후방어망으로서의 도시숲, 생활숲 조성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