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흡수원으로서의 숲,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숲이 공기를 정화한다”는 말, 그냥 비유일까요?

어느 봄날, 도시 외곽의 숲길을 걸으며 한 어르신이 말했습니다.

“야야, 여기 들어오니까 숨이 좀 쉬어진다~ 그치?”

 


그 말을 들은 우리는 웃었지만, 사실 그건 과학적 사실이에요.
숲은 진짜로, 숨을 쉬게 해주는 존재니까요.


📘 숲은 ‘탄소를 저장’하는 살아있는 댐

나무는 자라면서 광합성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그 탄소를 몸속에 저장합니다.

  • 나무 1그루 = 연간 약 6~10kg CO₂ 흡수

  • 산림 1ha = 연간 약 10~20톤 탄소 저장

이걸 모으면?
한국 전체 산림은 연간 약 4,500만 톤의 탄소를 흡수하고 있어요.
(※ 우리나라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6~7%)

즉, 나무는 탄소를 ‘없애는’ 것이 아니라 ‘붙잡아 두는 저장고’ 역할을 해주는 거예요.


🧭 탄소흡수원이란?

‘탄소흡수원’은 말 그대로
대기 중의 탄소를 흡수해 저장하거나, 대기 유입을 막는 모든 시스템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게 숲, 습지, 바다, 그리고 토양이죠.

그중에서도 숲이 가장 실용적이면서 관리 가능한 자원이에요.


🪄 그럼 숲을 탄소흡수원으로 잘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단순히 “나무 많이 심으면 되지~” 수준이 아닙니다.
숲이 건강하게 오래 유지되어야, 탄소를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어요.

📌 그래서 지금의 산림정책은 이렇게 바뀌고 있어요:

  1. 오래된 숲은 그대로 보전
    – 뿌리 깊고, 토양 탄소까지 붙잡고 있음

  2. 새로 심을 땐 적지적수 원칙으로
    – 땅과 기후에 맞는 수종을 골라야 제대로 자람

  3. 탄소흡수량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 드론·위성으로 산림의 탄소 저장 상태 확인

  4. 벌목? 있어요. 하지만 순환식 관리로 탄소 손실 최소화


🙋‍♀️ 그럼, 우리는 뭘 할 수 있을까?

"나무 심으러 꼭 산에 가야 해?"
그렇지 않아요.
도심 속에서도, 일상 속에서도 충분히 숲을 지키는 일에 참여할 수 있어요!

✔️ 1. 도시숲 캠페인 참여하기

공원, 학교숲, 도로변 작은 숲 조성 행사에 참여하세요.
→ 한 그루 한 그루가 도시의 탄소 정화 필터가 됩니다.

✔️ 2. ‘내 나무 갖기’ 캠페인

내 이름으로 나무를 입양하고, 관리 이력을 확인하는 제도
→ 최근엔 탄소크레딧과 연동되는 서비스도 나왔어요!

✔️ 3. 탄소중립 실천포인트 받기

산림 보호 활동(온라인 서약, 행사 참여 등)을 하면
→ 환경부에서 탄소중립 포인트를 지급합니다.
→ 기프티콘, 현금처럼 쓸 수 있어요 😊

✔️ 4. 그냥 ‘알고 있는 것’도 중요해요

지금처럼 이 글을 보고
“아, 숲이 탄소를 흡수하는구나!” 하고
다른 사람에게 알려주는 것만으로도 영향을 미칩니다.


🫶 마무리하며

우리는 숲을 “심었던” 세대를 기억합니다.
이젠 숲을 “지켜야 할” 세대입니다.

기후위기 시대에
숲은 녹색 감성의 상징이 아니라,
생존과 직결된 탄소 댐이에요.

지금 우리가 함께 돌보는 숲 한 조각이,
다음 세대의 숨결을 살릴 수 있다는 걸 잊지 마세요 🌲



[지속가능한 산림 시리즈] 전체 목차 연결 안내

1️⃣ [1편] 과거의 치산녹화, 지금은 왜 하지 않을까?
👉 산림 회복의 역사와 치산녹화 운동의 전환점

2️⃣ [2편] 치산녹화에서 탄소중립까지 – 산림정책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 조림 중심에서 기후대응 중심으로의 진화

3️⃣ [3편] 탄소흡수원으로서의 숲,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나무의 역할, 시민 참여, 탄소중립 실천 전략

4️⃣ [4편] 도시숲, 미래의 녹색 인프라가 되다
👉 기후방어망으로서의 도시숲, 생활숲 조성 방법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