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07. 소방시설
[01] 소방시설의 분류
소방시설은 화재를 예방하고, 불이 났을 때 진압하거나 대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비와 설비들을 말해요. 큰 건물이나 학교, 병원, 아파트 등에는 다양한 소방시설이 설치되어 있어요.
소방시설은 다음과 같이 크게 나눌 수 있어요:
소화설비: 불을 끄는 장비들 (예: 소화기, 스프링클러)
경보설비: 화재를 알리는 장치들 (예: 화재감지기, 경보벨)
피난구조설비: 대피를 도와주는 시설들 (예: 유도등, 피난사다리)
소화용수설비: 불을 끌 때 쓰는 물을 공급하는 시설 (예: 소화전)
소화활동설비: 소방관이 현장에서 활동할 수 있게 도와주는 설비 (예: 제연설비, 비상콘센트)
[02] 소화설비
소화설비는 화재가 났을 때 불을 직접 끄기 위해 설치해두는 장비들이에요.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건 바로 소화기죠. 하지만 그 외에도 자동으로 작동하는 장비들도 있어요.
소화기: 손으로 직접 조작해서 불을 끄는 장비
옥내소화전: 건물 내부에 설치된 호스로 불을 끄는 설비
스프링클러: 일정 온도 이상 올라가면 자동으로 물이 나와 불을 끄는 장치
⚠️ 최근 대한민국에서는 노후 소화설비 문제가 자주 발생하고 있어요. 오래된 아파트나 다중이용시설에서는 소화기나 스프링클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답니다. 그래서 정기적인 점검과 교체가 꼭 필요해요.
[03] 경보설비
불이 났을 때 사람들에게 알리는 역할을 해주는 설비예요. 우리가 잘 아는 경보음도 이 시스템에 속해요.
화재감지기: 연기나 열을 감지해서 경보를 울리는 장치
비상벨(경보벨): 화재가 감지되면 건물 전체에 알리는 역할
자동화재탐지설비: 감지기와 연결되어 자동으로 화재 발생을 알려주는 시스템
⚠️ 노후 감지기나 배선 불량으로 인해 오작동 또는 미작동 사례가 잦아요. 실제로 2024년 서울의 한 건물에서는 화재 당시 경보설비가 작동하지 않아 대형 사고로 이어졌어요. 안전을 위해 교체 주기를 지키는 게 중요해요.
[04] 피난구조설비
화재가 발생했을 때 사람들의 안전한 대피를 돕는 설비들이에요.
피난 유도등: 어두운 곳에서 출구 방향을 알려주는 초록색 불빛
피난 사다리: 높은 층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비
비상 계단, 대피용 경사로: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피난로
⚠️ 실제 화재 사례에서, 유도등이 작동하지 않아 혼란이 발생한 경우가 있어요. 특히 지하 시설이나 숙박업소 등은 철저한 점검이 필수입니다.
[05] 소화용수설비
불을 끄기 위해서는 물이 꼭 필요하죠. 소화용수설비는 이런 물을 공급해주는 장치예요.
소화전: 소방차나 사람이 직접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 장치
급수탱크, 저수조: 물을 저장해두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물탱크
⚠️ 일부 낡은 건물에서는 소화전이 막혀 있거나, 급수탱크에 물이 부족한 사례도 있어요. 소방활동이 불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법적 기준에 맞춘 점검과 보수가 중요해요.
[06] 소화활동설비
소방관들이 현장에서 화재를 진압할 때 사용하게 되는 전문 설비들이에요. 보통은 일반인이 사용하는 설비가 아니에요.
비상 콘센트 설비: 소방장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
제연설비: 연기를 밖으로 빼내는 장치로, 시야 확보와 질식 방지에 중요해요
연결 송수관: 건물 외부에서 물을 공급받아 고층 내부로 보내주는 배관
⚠️ 노후 송수관이나 제연설비가 작동하지 않으면, 소방관들의 구조활동도 큰 어려움을 겪어요. 특히 고층 건물일수록 설비 점검이 생명과 직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