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05. 건축방재 및 피난
[01] 내장재료
내장재료는 건축물 내부에 마감재로 사용하는 재료예요. 천장, 벽, 바닥 등에 쓰이며, 보기 좋게 꾸미는 역할도 하지만 **불이 났을 때 얼마나 잘 타는지(난연성)**도 매우 중요해요. 학교나 병원 같은 공공건축물에는 불에 잘 타지 않는 재료를 사용해야 해요.
▶ 대표적인 내장재료:
석고보드 (불에 강함)
합판, 목재 (불에 잘 탐)
난연 처리된 벽지, 천장재
내장재 하나의 선택이 화재 확산 속도를 결정짓기도 하기 때문에, 건축에서 안전을 위해 꼭 고려해야 할 요소입니다.
[02] 건축물의 구조
건축물의 구조는 건물 전체를 지탱하는 뼈대 같은 역할을 해요. 구조는 화재에 대한 저항성과도 관련이 있어요. 어떤 구조는 불에 강하고, 어떤 구조는 약하죠.
▶ 주요 구조 종류:
철근콘크리트 구조: 내화성 우수
철골 구조: 고온에서 강도 약해짐
목조건축물: 인화성이 높아 화재에 취약
불에 강한 구조로 건물을 짓는 것은 화재 시 대피 시간을 벌고, 피해를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돼요.
[03] 방화구획, 방화벽, 방화문
불은 빠르게 번지기 때문에, 건물 안에서 불이 더 이상 퍼지지 않도록 구역을 나누는 것이 중요해요. 이걸 방화구획이라고 해요.
방화구획: 일정 면적마다 구역을 나누어 불이 번지지 않게 함
방화벽: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한 내화성 벽
방화문: 불과 연기가 퍼지는 걸 막기 위한 문, 자동으로 닫히는 장치 포함
학교 복도에 있는 무거운 철문이 바로 '방화문'이에요. 방화구획이 잘 되어 있으면 불이 한 곳에만 머물고 다른 구역으로 확산되지 않아요.
[04] 기타 건축용어
건축방재를 이해하기 위해 알아두면 좋은 용어들이 있어요:
내화구조: 불에 타지 않도록 만든 구조
차열성: 열을 막는 성질
연기 제어 시스템: 연기의 흐름을 조절해 피난을 돕는 설비
이런 개념들은 건축설계뿐 아니라 소방 설비와도 관련이 있어요.
[05] 건축물의 방재계획
방재계획은 화재나 지진 같은 재난이 발생했을 때 건축물이 얼마나 안전하게 대응할 수 있는가에 대한 설계 계획이에요.
재료 선택부터
구조 설계,
방화설비 설치까지 모두 포함돼요.
예를 들어, 스프링클러, 자동 화재감지기, 피난 유도등 등이 방재계획 안에 포함되죠. 이렇게 계획적으로 대비해 놓으면, 위급한 순간에 생명을 지킬 수 있어요.
[06] 건축물의 피난계획
피난계획은 화재나 재난이 발생했을 때 사람들이 어떻게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지를 미리 설계하는 거예요.
피난통로: 사람들이 이동하는 길 (복도, 계단 등)
피난구: 대피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출구
피난시설: 유도등, 경사로, 피난사다리 등
학교나 병원 같은 곳에서는 피난계획이 매우 중요하고, 매년 훈련도 해요. 실제 위급상황에서 침착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피난계획의 목적이에요.